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유승영
- 서형국
- 도서출판득수
- 노을쪽에서온사람
- 가짜시인
- 권상진시인
- 눈물 이후
- 리스트컷증후군
- 권상진 시인
- 노을 쪽에서 온 사람
- 권상진 #저녁의 위로 #검은 사람 #발아래 어느 상가 #장수철 시인 #시와문화
- 밑장
- 눈물이후
- 북토크
- 접는다는 것
- 권수진
- 권상진 시집
- 경주문학상
- 햄릿증후군
- 석민재
- 레미앙상블
- 이필
- 언니네 책다방
- 들은 이야기
- 웹진 시인광장
- 걷는사람
- 시골시인K
- 최미경 시인
- 권상진
- 수북책방
- Today
- Total
하루하루
떠도는 섬 / 나호열 본문
[읽은 시 한 편]
떠도는 섬
나 호 열
섬들이 부딪치지 않으려고
파도로 외로움을 만드는 시간
눈에 불심지를 매단 차들이
조심조심 좌우로 앞뒤로
순례의 길을 간다
섬 속에 살고 있는 또 하나의 섬
무언의 깜빡이를 켜고 능숙하게 핸들을 돌리는
신을 닮은 우리는 스스로 고독한 채
말문을 닫는다
길 위에 떠도는 다도해
긴 팔을 뻗으면 닿을 듯해도
물 속에 다리를 묻은 두루미처럼
몹시도 가려운 그리움의 바닥을 쳐다보며
커엉컹 개 짖는 소리 들린다
급히 신호등이 바뀔 때마다
어둠의 벼랑 아래로 아득히 추락하는
떠도는 섬
[짦은 생각]
'섬' 이라는 말에는 묘한 어감이 있다. 그것이 무인도일 경우에 더욱 그렇다.
웅성대는 무리에서 벗어난 외따로움. 모든 관계에서 벗어난 절대고독.
섬 속에 살고 있는 또하나의 섬. 시인의 시각에서 본다면 현재를 살고 있는 이 공간도 (관계 속에서의) 섬이고 그 속에 살고 있는 각자들도 개체로서의 섬이다.
정현종 시인의 섬처럼 그곳은 사람과 사람 사이, 즉 사람이 존재하지 않는, 관계가 끊어진 고독의 자리와 닿아있지 않을까 생각해 본다. 또하나의 섬은 다시 나, 너, 우리 모두의 자화상이 아닐까. 시인의 말 대로라면 그 섬은 신을 닮았다.
'닮았다'는 말은 '아니다'의 의미 이다. '무언의 깜박이를 켜고 능숙하게 핸들을 돌리'지만 결국 우리는 신이 아니라 신의 영역을 흉내 내고 있는 고독한 인간의 모습이라는 것을 말해주고 싶었을 게다. 자동차도 섬, 그 속의 나도 섬. 이 도시도 섬. 이 지구도 결국 신 앞에서는 고독한 섬에 지나지 않는다는 이 큰 비유. 시인은 이미 이 경지를 벗어나 있어 보인다.
시집 「촉도」는 각각의 단편에서 오는 감동도 감동이려니와 한 권을 다 읽고 난 후 묵직하게 다가오는 시인의 삶과 시에 대한 자세를 생각하게 해준다.
의미있는 시간이었다.
- 가짜시인
'나의 편린들 > 내가 읽은 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인이 된다는 것 / 밀란 쿤데라 (0) | 2016.01.29 |
---|---|
퍼즐 / 홍연옥 (0) | 2015.08.15 |
신문 / 유종인 (0) | 2015.07.10 |
어느 주꾸미의 죽음 / 김수상 (0) | 2015.07.08 |
[스크랩] 저기, 사람이 지나가네/ 진 란 (0) | 2015.05.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