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눈물 이후
- 언니네 책다방
- 시골시인K
- 걷는사람
- 눈물이후
- 리스트컷증후군
- 접는다는 것
- 햄릿증후군
- 노을쪽에서온사람
- 수북책방
- 들은 이야기
- 최미경 시인
- 서형국
- 이필
- 석민재
- 북토크
- 권상진시인
- 유승영
- 경주문학상
- 권수진
- 권상진 시인
- 레미앙상블
- 권상진 #저녁의 위로 #검은 사람 #발아래 어느 상가 #장수철 시인 #시와문화
- 노을 쪽에서 온 사람
- 권상진 시집
- 웹진 시인광장
- 가짜시인
- 밑장
- 도서출판득수
- 권상진
- Today
- Total
하루하루
각(刻) / 조경선 본문
각(刻)
조경선
1.
꽃은 피는데 내가 살지 않은 봄이 온다
나는 지상에서 나무 깎는 노인
나무들은 우뚝 나무로만 서서 한 생을 탕진하는데
우듬지만이 까마득하다
둥지 잃은 새들이 잘린 그루터기에 맴돌아도
나무가 나에게 걸어오는 시간 따윈 묻지 않는다
저 깊숙한 울음까지 새길 수 있을까
환지통을 참으며 나무가 말라갈 때
바람이 무딘 손금을 부추긴다
나무가 모르는 방향에서 칼을 고른다
첫 날(刀)은 표피만 살짝 건드려야 한다
작은 숨소리만 들려도 칼을 뱉어내니
이겨내선 안 된다
무중력 상태까지 나를 놓치며 결을 따라 흘러야 한다
깎아내면 깎아낼수록
이빨을 드러내는 것이 나무의 본색(本色)
그때 나무가 칼을 선택한다
살을 내주며 나무가 나를 길들인다
모르는 형상(形象) 안에 칼은 갇히고
끝내 어떤 대답도 듣지 못한다
나무의 얼굴을 꺼내며 없는 봄을 탕진한다
2.
잘려진 밑동이 다시 잘려 나간다
내력이 둥글게 말리고
날을 삼킨 결이 암호로 풀어진다
또 한 생을 절단 내는 순간이 온 것이다
오래된 내 상처가 목장갑 안쪽에서 꿈틀대기 시작한다
관을 주문한 자가 죽어서 관을 기다린다
그가 말한 먼 훗날은 그리 먼 때가 아니었다
먹선을 튕기면 끌은 정교해지고 망치는 거세진다
나무속을 파내는 일이란 불편을 깎아내는 일
그의 체온과 진지한 몸짓을 생각하며 틀을 짠다
막무가내로 박혀있던 울음소리를 걷어낸다
수십 겹의 울음이 뭉쳐져 있다가 풀어진다
그에게 줄 수 있는 처음이자 마지막인 여백엔
울음 따윈 없어야 한다
겨우 여섯 개의 판자가 생을 요약한다
뚜껑을 만들기 전 숨을 고른다
관을 닫을 때 어둠에 눌리지 않아야 한다
가만히 관에 누워 본다
완전한 처음, ‘내 나무’의 완성을 본다
-------------------------------------------------------------------------------------------------------------------------------
- 시를 머리로만 쓰는 사람들을 간혹 보게 된다. 잡다한 지식들을 조합하고, 온갖 미사여구를 억지스럽게 끼워맞춰 그것을 자신인 양 차려낸다. 시가 된다. 하지만 그런 시에는 마음이 오래 머물지 못한다. 눈으로 보는 맛은 있을지 몰라도 진한 뒷맛이 없기 때문이다.
그렇고 보면 나는 경험의 시를 좋아한다. 어떤 사물과 상황을 몸으로 부딪혀 그 속에 자신의 진물이 얼마쯤이라도 묻어나는 시, 그 속에 진정성이 보이고 시를 쓴 이가 비치는 것이다.
조경선 시인님을 몇 번 뵌 적이 있다. 수수한 차림에 소탈한 웃음. 가식 없는 표정이 스스로를 잘 말해주고 있었다. 실제로 나무 깎는 일을 업으로 하는 분이었는데 시를 읽으면서, 각(刻)을 하는 시인의 자세와 시(詩)를 대하는 시인의 자세를 알 수 있었다. 나무를 다듬고 시를 다듬기 이전에 시인은 자신의 마음을 먼저 다듬고 있음이다.
- 저 깊숙한 울음까지 새길 수 있을까
- 살을 내주며 나무가 나를 길들인다
- 겨우 여섯 개의 판자가 생을 요약한다
이런 시행들이 주는 감동과 여운은 깊다. 머리로도 쓸 수 있는 문장이겠지만 시인을 알고 다시 보는 시행은 더 여운이 짙다.
- 가짜시인
'나의 편린들 > 내가 읽은 詩' 카테고리의 다른 글
꽃무릇 / 성영희 (0) | 2019.12.18 |
---|---|
말의 뒤편 / 윤병무 (0) | 2019.12.11 |
천천히 와 / 정윤천 (0) | 2019.08.16 |
보고 싶구나 / 김사이 (0) | 2019.07.17 |
그날의 풍경 / 김종휘 (0) | 2019.07.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