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최미경 시인
- 시골시인K
- 눈물이후
- 서형국
- 권상진 시집
- 웹진 시인광장
- 권수진
- 북토크
- 권상진
- 밑장
- 권상진시인
- 경주문학상
- 눈물 이후
- 들은 이야기
- 이필
- 노을 쪽에서 온 사람
- 도서출판득수
- 석민재
- 접는다는 것
- 권상진 #저녁의 위로 #검은 사람 #발아래 어느 상가 #장수철 시인 #시와문화
- 수북책방
- 노을쪽에서온사람
- 걷는사람
- 유승영
- 리스트컷증후군
- 권상진 시인
- 햄릿증후군
- 언니네 책다방
- 가짜시인
- 레미앙상블
- Today
- Total
하루하루
현대시조 쓰기 10계명 / 윤금초(대학 교수, 시인) 본문
● 현대 시조 쓰기 10계명
1. 소녀(少女) 취향을 벗어 던져라.
너무 앳되고 여린 감성을 버리고 눈 높이를 높여라. 모든 예술 작품은 ‘지식(知識)의 열매’다. 문학은 작자의 소양, 지식, 인격 등 그 사람의 모든 것을 쏟아 넣는 지식의 산물(産物)이다.
2. 상식을 초월하라.
발상(發想)을 전환하라. 의식의 혁명→패러다임의 변화. 흔히 산문은 있되 시가 없는 경우가 있는데, 직설법(直說法)을 삼가하고 은유법(隱喩法)과 상상력(想像力)을 동원하여 ‘詩’를 담아내야 한다. 상식을 초월하는 자만이 소기의 목적을 거두리라.
3. 패기를 살려라.
‘신인’의 무기는 패기다. 덜 다듬어져도 좋으니까 하늘을 찌를 듯한 패기를 살려라. 남의 눈치를 살피지 말고 대담하게 대시하라. 기성 시조시인 작품에 과감하게 도전하라. ‘혁명’을 일으킨다는 각오가 없다면 감히 시조에 도전하지 말라.
4. 소재의 참신성. 시조의 소재는 얼마든지 널려 있다.
그러나 그 소재 가운데 상큼한 소재, 경천동지(驚天動地)할 소재, 눈이 번쩍 뜨일 소재를 찾아내는 것이 ‘신인’의 사명이다. 사물을 ‘새롭게 파악하는 안목’을 가진 자만이 참신한 소재를 발굴해 낼 것이다.
5. 스케일이 웅장해야 한다.
한편의 시조를 5~6수 끌고 갈 수 있도록 스케일이 웅장하고 서사구조(敍事構造)를 갖출 수 있는 소재를 천착하라. 우렁찬 목소리가 ‘울림’의 폭도 큰 것이다.
6. 치열한 시정신(詩精神).
시조 작품은 언어의 유희(遊戱)가 아니다. 시혼(詩魂)이 깃들지 않고, 시혼이 살아있는 작품이 아니면 아예 손도 대지 말라.
7. 고정관념을 버려라.
(새 술은 새 부대에) 수평적 사고(水平的 思考)→사물을 거꾸로 보기, 뒤집어 보기, 통찰력·분석력을 가지고 거시적(巨視的) 안목과 미시적(微視的) 안목에서 사물을 들여다 보라. 그러면 열릴 것이다.
8. 개성을 살려라.
자기 목소리, 자기 스타일을 유지하라. 독특한 개성, 톡톡 튀는 ‘문체(文體)’를 가진 자만이 이 세상에 끝까지 살아남은 문인이 될 것이다.
9. 정보(情報)를 가공(加工)하라.
신문·잡지를 열심히 읽고 그때그때 시사문제, 사회적 이슈, 사회적 모순, 비리문제 등을 시조 문맥(文脈) 속에 풀어내라. 기성 시조시인의 작품을 열심히 읽고 상대의 장점을 내 것으로 만드는 지혜를 터득하라.
10. 시조를 위해 시간을 투자하라.
시조를 위해 미쳐야 한다. 노력 없이 목적 달성을 바란다는 것은 무위도식과 같은 것이다. 거듭 말하지만 시조를 위해 시간을 투자하라. 투자한 만큼 거두리라.
'나의 편린들 > 詩 자료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문예지와 시인의 기이한 관계 / 이승하 (0) | 2013.09.24 |
---|---|
[스크랩] [문화in] ‘짜고 치는 고스톱’ 이상한(?) 문학상! 이종찬 글꾼 (0) | 2013.09.24 |
더 좋은 시를 쓰고 싶어하는 여러분에게 / 이승하 (0) | 2013.08.12 |
시의 본질에 관한 우문과 현답 / 이형권 (0) | 2013.08.10 |
[스크랩] Re:작가 인터뷰 <권할 수 없는 행복> -/ 안희연 시인 (0) | 2013.08.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