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유승영
- 눈물 이후
- 햄릿증후군
- 노을 쪽에서 온 사람
- 밑장
- 권상진
- 시골시인K
- 권상진 시집
- 걷는사람
- 이필
- 가짜시인
- 레미앙상블
- 웹진 시인광장
- 서형국
- 리스트컷증후군
- 도서출판득수
- 언니네 책다방
- 경주문학상
- 접는다는 것
- 북토크
- 권수진
- 수북책방
- 권상진시인
- 최미경 시인
- 권상진 시인
- 권상진 #저녁의 위로 #검은 사람 #발아래 어느 상가 #장수철 시인 #시와문화
- 눈물이후
- 들은 이야기
- 석민재
- 노을쪽에서온사람
- Today
- Total
하루하루
2019' 웹진 시인광장 올해의 좋은 시100선 출간 본문
시문단의 消息(소식)【1460】웹진 시인광장 관련기사【84】冊 올해의 좋은 시 100選【11】2019' 웹진 시인광장 올해의 좋은 시100선 출간【웹진 시인광장 Webzine Poetsplaza SINCE 2006】
2019. 2. 19. 22:45
지은이 : 강기원 외 | 발행인 : 우원호 | 분야 : 국내문학 / 한국시 | 출간 : 2019년 1월 1일 | ISBN 979-11-950371-8-6 | 본문 : 296쪽 | 가격 : 12000원
- 출판사 서평 -
올해로 12회째인 웹진『시인광장』 선정 올해의좋은시상 수상자로 최금진 시인이 선정되었다. 2018년도 올해의 좋은 시 500선에 오른 시인들의 추천에 의해 최종 본선에 오른 12편을 놓고 지난 12월 2일에 웹진 시인굉장 우원호 발행인과 김왕노 시와 경게 편집 주간과 황정산 대전대 교수의 심사를 거쳐 선정했다.
2019년 웹진 시인광장 선정 〈올해의좋은시상〉 수상자 선정을 위해 웹진 시인광장 편집진과 50인의 시인들로 구성된 좋은 시 추천위원들에 의해 추천된 작품성과 완성도가 높은 수준 높은 작품들을 선별하여 500편을 소개하고, 500選에 선정된 시인 전원에게 1차로 이메일을 통해 선정된 시를, 시인들의 이름과 프로필을 모두 배제하고 일련번호와 시원문만 보내 철저하게 블라인드 테스트(Blind Test) 방식으로 100편 단위로 10편씩 추천토록 하는 매우 투명하고 공정한 민주적인 방식을 통해 추천된 작품들을 득표수에 따라 1번부터100번까지 집계하여 최종 100편을 선정했다.
올해에는 특히 10위권에 선정된 수상작인 최금진 시인의 〈누가 고양이 입속의 시를 꺼내 올까〉를 비롯하여 진은영 시인의 〈Agnus Dei, Samuel Barber〉와 신철규 시인의 〈세화〉, 김경미 시인의 〈밤의 프랑스어 수업〉, 조동범 시인의 〈휴스턴〉, 그리고 아쉽게도 올해 일찍 타계한 박서영 시인의 〈시계 수리공의 장례식〉과 이령 시인의 〈모자 찾아 떠나는 호모루덴스〉, 조용미 시인의 〈지구의 마음〉, 여성민 시인의 〈애인과 시인과 경찰〉그리고 2017년 수상자인 송종규 시인의〈북어를 위한 헌사〉와 강은진 시인의 〈몽유_sleep walk와〉 오현정 시인의 〈설탕 혹은 소금〉은 물론, 가시권 밖에 있던 시인들이 처음으로100선에 선정된 강윤미 시인의 〈비밀파이〉와 김경숙 시인의 〈나무 유골〉, 김제김영 시인의 〈파이디아〉와 갗은 작품처럼 지방에서 활동하는 시인들의 활약이 돋보였고, 500선에 선정된 작품들의 시의 수준이 그 어느 해보다도 모두 고루 작품성이 뛰어났고 내용 내용 면에서도 질적으로나 양적으로도 매우 다양하고 풍성했던 한해였다.
참고로 제1회 김선우시인(2008년), 제2회 박형준 시인(2009년), 제3회 이장욱 시인(2010년), 제4회 김명인 시인과 심보선 시인(2011년), 제5회 유지소 시인(2012년), 수상자 김신용 시인(2013년), 제7회 김이듬 시인(2014년), 제8회 김행숙 시인(2015년), 제9회 김중일 시인(2016년), 제10회 송종규 시인(2017년), 제11회 김왕노 시인(2018년), 제12회 최금진 시인(2019년)이 수상했다.
■ 웹진 시인광장 선정 2018 시인광장 선정시 2차 선정 10選
순서
|
이름 |
제목 |
구분 |
1 |
최금진 |
누가 고양이 입속의 시를 꺼내 올까 |
계간 『문예바다』 2017년 가을호 |
2 |
진은영 |
Agnus Dei, Samuel Barber |
계간 『창작과 비평』 2018년 가을호 |
3 |
신철규 |
세화 |
계간 『창작과 비평』 2018년 가을호 |
4 |
김경미 |
밤의 프랑스어 수업 |
계간 『시산맥』 2017년 여름호 |
5 |
조동범 |
휴스턴 |
월간 『현대시』 2016년 11월호 |
6 |
박서영 |
시계 수리공의 장례식 |
계간 『경남문학』 2016년 여름호 |
7 |
이 령 |
모자 찾아 떠나는 호모루덴스 |
계간 『시산맥』 2016년 가을호 |
8 |
조용미 |
지구의 마음 |
계간 『시담』 2016년 가을호 |
9 |
여성민 |
애인과 시인과 경찰 |
계간 『미네르바』 2018년 봄호 |
10 |
송종규 |
북어를 위한 헌사 |
계간 『시와 세계』 2018년 봄호 |
|
강은진 |
몽유_sleep walk |
웹진 『시인광장』 2018년 11월호 |
|
오현정 |
설탕 혹은 소금 |
웹진 『시인광장』 2018년 3월호 |
웹진 시인광장 【Webzine Poetsplaza SINCE 2006】
선정 100選
웹진 시인광장(Webzine Poetsplaza) 은 지난 2008년부터 해마다 1년 동안 웹진(Webzine)이나 무크 [Mook]紙 등을 비롯하여 국내에서 발간되는 월간, 계간, 년간, 반년간 등의 여러 문예지를 통해 발표된 시인들의 신작시를 대상으로 웹진 시인광장 편집진과 올해의 좋은 시 선정위원들이 엄선하여 올해의 좋은 시 1000이란 이로 주옥 같은 시작품을 소개하고 있습니다.
웹진 시인광장 선정 올해의 좋은시 1000편의 수준 높은 작품들은 올해의 좋은 시 선정의 합당한 취지와 당위성을 더욱 제고하는 차원에서 시집 등에 수록된 작품을 제외하고 오로지 신작시를 그 대상으로 선정함을 알려드립니다.
지난 2008년(제1회 수상자 김선우 시인)과 2009년(제2회 수상자 박형준 시인), 2010년(제3회 수상자 이장욱 시인), 2011년(제4회 수상자 김명인 시인, 심보선 시인 공동수상), 2012년(제5회 수상자 유지소 시인), 2013년(제6회 수상자 김신용 시인), 2014년(제7회 수상자 김이듬 시인), 2015년(제8회 수상자 김행숙 시인), 2016년(제9회 수상자 김중일 시인), 2017년(제10회 수상자 송종규 시인), 2018년(제10회 수상자 송종규 시인) 에 이어 제11회 수상자의 선정을 위해 『시인광장』 홈페이지를 통해 웹진을 비롯하여 국내에서 발간되고 있는 무크지를 포함한 각종 문예지를 대상으로 20여명의 웹진 『시인광장』 편집위원들과 60명의 올해의 좋은 시 추천위원들이 추천하는 신작시들을 대상으로 엄선하여 웹진 『시인광장』 선정 올해의 좋는 시 500이란 이름으로 매일매일 4편씩 소개하고 올해의 좋은 시 500에 선정된 시인들이 전원 참여하여 100편 단위로 10편씩 추천토록 하는 매우 투명하고 공정한 민주적인 방식을 통해 이미 100편을 선정했습니다.
동일한 방법으로 100편에 선정된 시인에게 10편씩 추천토록 하여 2차로 추천한 본선에 오른 10편의 시들을 김신용 주간을 심사위원장으로 하고 우원호 발행인과 김백겸 전임주간과 오는11월 18일 심사하여 제11회 올해의좋은시상 수상자를 선정하였으며, 수상시와 선평, 수상소감 및 평론과 인터뷰 등을 웹진 시인광장 선정 올해의 좋은 시 100選'이란 題下의 엔솔로지에 소개합니다.
웹진 『시인광장』은 詩의 직접민주주의가 이루어지는 장소입니다. 참여시인들의 명단은 공개되지만 시인들이 추천한 작품명은 비공개로 진행합니다. 많은 여러분의 진지한 참여가 시인들의 양심에 호소한 진정한 작품을 선정할 것입니다. 선정된 100편의 시는 한국시단의 동향을 파악하는데 일정부분 나침반의 역할을 하리라 생각합니다.
감사합니다.
2018년 11월19일(월)
편집주간: 김신용
부주간: 김영찬
편집장: 이 령
편집위원: 나금숙, 송과니, 강 순, 권성훈, 김명철, 박수빈, 허 민, 김분홍,
한경용, 이재연, 이 선, 정 호, 김인경
■ 웹진 시인광장 선정 2019 시인광장 선정시 1차 선정 100選
순서
|
이름 |
제목 |
구분 |
1 |
강기원 |
심야극장의 그랑 블루 |
계간 『시와 문화』 2017년 겨울호 |
2 |
강서완 |
피노키오 가면 |
계간 『애지』 2016년 봄호 |
3 |
강 순 |
곶감이라는 숭고한 대상 |
계간『시와 사람』 2018년 봄호 |
4 |
강영은 |
동물성 |
계간『포지션』 2018년 가을호 |
5 |
강윤미 |
비밀파이 |
계간 『리토피아』2018년 여름호 |
6 |
강은진 |
몽유_sleep walk |
웹진 『시인광장』 2018년 11월호 |
7 |
권상진 |
눈사람 |
웹진 『시인광장』 2018년 11월호 |
8 |
권정일 |
피:다 |
웹진 『시인광장』 2018년 11월호 |
9 |
권현형 |
누구냐고 물어보신다면 |
계간 『시와 편견』 2018년 봄호(창간호) |
10 |
금시아 |
죽은 사람을 나누어 가졌다 |
웹진 『시인광장』 2018년 5월호 |
11 |
김개미 |
K의 근황 |
웹진 『시인광장』 2018년 4월호 |
12 |
김경미 |
밤의 프랑스어 수업 |
계간 『시산맥』 2017년 여름호 |
13 |
김경숙 |
나무 유골 |
웹진 『시인광장』 2018년 1월호 |
14 |
김관영 |
환영(幻影)의 마을 |
계간 『미네르바』 2018년 여름호 |
15 |
김나영 |
4월 1일 |
웹진 『시인광장』 2018년 5월호 |
16 |
김도언 |
우아한 경솔함 |
웹진 『시인광장』 2016년 5월호 |
17 |
김미정 |
안개주의보 |
계간 『포에트리』 2017년 가을호 |
18 |
김백겸 |
깔리Kali여신을 사랑함 |
계간 『신생』 2018년 가을호 |
19 |
김분홍 |
전복 |
계간 『시산맥』 2017년 가을호 |
20 |
김상미 |
너의 장례식장에서 |
계간 『문학에스프리』, 2018년 봄호 |
21 |
김성대 |
아비 규환 |
웹진 『시인광장』 2016년 4월호 |
22 |
김승희 |
밤의 물방울 극장 |
월간 『현대문학』 2018년 1월호 |
23 |
김신용 |
滴―다시 쓰는, ‘자라’를 읽기 위한 세 개의 에스키스 |
계간 『포엠포엠』 2018년 봄호 |
24 |
김언희 |
또 하나의 고; 독 |
월간 『현대문학』 2018년 1월호 |
25 |
김연아 |
하얀 식탁 |
웹진 『공정한 시인의 사회』 2017년 2월호 |
26 |
김영찬 |
안나 아흐마토바를 위한 밤 |
계간 『문학과 의식』 2018년 가을호 |
27 |
김왕노 |
벌판으로 |
웹진 『시인광장』 2017년 12월호 |
28 |
김유석 |
처서處暑 |
웹진 『시인광장』 2016년 8월호 |
29 |
김은상 |
첫사랑 |
월간 『현대시』 2017년 12월호 |
30 |
김인희 |
흰 |
웹진 『시인광장』 2016년 6월호 |
31 |
김제김영 |
파이디아 |
월간 『현대시』 2018년 5월호 |
32 |
김중일 |
나무는 나뭇잎이 꾸는 꿈, 나는 네가 꾸는 꿈 |
계간 모:든시』 2018년 봄호 |
33 |
김찬옥 |
G선상의 아리아 |
웹진 『시인광장』 2017년 11월호 |
34 |
김추인 |
내일의 친구들에 고(告)함 |
격월간 『시사사』 2018년 5~6월호 |
35 |
김학중 |
리듬 |
계간 『시와 사람』 2017년 겨울호 |
36 |
김희준 |
시집 |
월간 『시인동네』 2018년 1월호 |
37 |
나금숙 |
건축 |
계간 『시산맥』 2018년 봄호 |
38 |
류인서 |
묵독파티 |
계간 『시와 사람』 2016년 봄·여름 합본호 |
39 |
맹문재 |
우체부 조셉 룰랭에게 |
격월간 『시사사』 2018년 1~2월호 |
40 |
문보영 |
배틀 그라운드 |
계간 『문학동네』 2018년 여름호 |
41 |
박남희 |
죽은 새를 바라보는 여름 |
격월간 『시사사』 2018년 7~8월호 |
42 |
박서영 |
시계 수리공의 장례식 |
계간 『경남문학』 2016년 여름호 |
43 |
박성현 |
빛의 모서리 |
월간 『현대시』 2017년 6월호 |
44 |
박용하 |
1분후의 세계 |
월간 『현대시』 2017년 1월호 |
45 |
박주하 |
투명 |
웹진 『시인광장』 2018년 10월호 |
46 |
배영옥 |
사과와 함께 |
월간 『시인동네』 2017년 9월호 |
47 |
배정숙 |
호더스증후군 |
웹진 『시인광장』 2016년 4월호 |
48 |
백인덕 |
낮술, 푸에리토리코에서 쓰는 비가(悲歌) |
웹진 『시인광장』 2018년 2월호 |
49 |
서안나 |
새를 심었습니다 |
월간 『시와 표현』 2017년 12월호 |
50 |
성향숙 |
마리코 아오키는 서점에 갈 때마다 배변욕구가 생긴다 |
계간 『포지션』 2018년 가을호 |
51 |
송과니 |
가리사니 |
계간 『시현실』 2018년봄호 |
52 |
송종규 |
북어를 위한 헌사 |
계간 『시와 세계』 2018년 봄호 |
53 |
신영배 |
세 번째 바람의 숲 |
월간 『현대시』 2018년 8월호 |
54 |
신철규 |
세화 |
계간 『창작과 비평』 2018년 가을호 |
55 |
안차애 |
차도르 |
계간 『모:든시』 2018년 봄호 |
56 |
안현미 |
독거 |
계간 『시로 여는 세상』 2016년 봄호 |
57 |
여성민 |
애인과 시인과 경찰 |
계간 『미네르바』 2018년 봄호 |
58 |
오민석 |
쌍계사 벚꽃길의 연어떼 |
격월간 『현대시학』 2018년 5~6월호 |
59 |
오유정 |
내가 읽는 안단테 |
격월간 『시사사』 2018년 3~4월호 |
60 |
오현정 |
설탕 혹은 소금 |
웹진 『시인광장』 2018년 3월호 |
61 |
우원호 |
미필적 고의에 의한 무조건의 사랑 |
계간 『시현실』 2018년 겨울호 |
62 |
유계영 |
불안을 전달하는 몇 가지 방식 중에서 |
웹진 『시인광장』 2016년 6월호 |
63 |
유미애 |
분홍당나귀 |
웹진 『시인광장』 2018년 99월호 |
64 |
윤의섭 |
고비苦悲 |
월간 『현대시학』 2016년 6월호 |
65 |
이경임 |
지금 이곳에서 3 |
웹진 『시인광장』 2018년 1월호 |
66 |
이기와 |
생선과 사과와 그리고 |
웹진 『시인광장』 2018년 11월호 |
67 |
이돈형 |
문턱 |
계간 『문예바다』 2018년 여름호 |
68 |
이 령 |
모자 찾아 떠나는 호모루덴스 |
계간 『시산맥』 2016년 가을호 |
69 |
이서빈 |
균菌 |
계간 『애지』 2018년 여름호 |
70 |
이순현 |
내 신발 속의 여자 |
웹진『문장』 2018년 1월호 |
71 |
이운진 |
파란 달 |
계간 『실천문학』 2017년 겨울호 |
72 |
이은심 |
산책의 범위 |
웹진 『시인광장』 2018년 11월호 |
73 |
이재연 |
종種과 종 사이 |
웹진 『시인광장』 2016년 6월호 |
74 |
이향란 |
건축학적 아픔 |
계간 『문학과 창작』 2018년 여름호 |
75 |
장옥관 |
펜 |
계간 『시와 사상』 2018년 봄호 |
76 |
정끝별 |
멜랑콜리커의 발 |
계간 『문학들』 2018년 봄호 |
77 |
정 선 |
달걀 한 알 |
계간 『시와 편견』 2018년 가을호 |
78 |
정숙자 |
북극형 인간 |
계간 『시와 정신』 2018년 가을호 |
79 |
정진규 |
전집 자서(全集自敍) |
계간 『시인수첩』 2017년 가을호 |
80 |
정채원 |
압축 보관 |
계간 『미네르바』 2017년 가을호 |
81 |
조동범 |
휴스턴 |
월간 『현대시』 2016년 11월호 |
82 |
조용미 |
지구의 마음 |
계간 『시담』 2016년 가을호 |
83 |
조 원 |
비밀의 방 |
계간 『시와 사상』 2016년 여름호 |
84 |
조정인 |
함박눈이 내리기 때문입니다 |
계간 『시와 표현』 2018년 4월호 |
85 |
진은영 |
Agnus Dei, Samuel Barber |
계간 『창작과 비평』 2018년 가을호 |
86 |
천서봉 |
나무 호텔 |
계간 『시작』 2017년 겨울호 |
87 |
최금진 |
누가 고양이 입속의 시를 꺼내 올까 |
계간 『문예바다』 2017년 가을호 |
88 |
최문자 |
입 |
월간 『현대문학』 2018년 1월호 |
89 |
최백규 |
입하 |
계간 『발견』 2018년 여름호 |
90 |
최영랑 |
훌라후프 |
웹진 『시인광장』 2018년 11월호 |
91 |
최정란 |
직립보행 |
계간 『두레문학』 2018년 가을호 |
92 |
최형심 |
의자들 |
계간 『시와 문화』 2018년 가을호 |
93 |
한정원 |
머리칼의 행방 |
월간 『현대시학』 2016년 10월호 |
94 |
함기석 |
정물연인 |
계간 『포엠 포엠』 2018년 여름호 |
95 |
함순례 |
자정의 작용 |
웹진 『시인광장』 2018년 11월호 |
96 |
허 민 |
'나'라는 문장 |
계간 『시산맥』 2016년 여름호 |
97 |
허 연 |
외전 6 |
웹진 『시인광장』 2016년 6월호 |
98 |
홍일표 |
달의 풍속 |
계간 『문학선』 2017년 겨울호 |
99 |
황정산 |
블랙 미러 |
월간 『시인동네』 2018년 3월호 |
100 |
휘 민 |
직소퍼즐을 맞추며 |
계간『문학에스프리』 2017년 겨울호
|
국내외의 많은 시인들과 독자들로부터 최고의 엔솔로지로 평가받고 있는 바로 이 2017 시인광장 선정시 100選은 다음 주부터 교보문고, 영풍문고, 예스24, 알라딘과 인터파크를 비롯해서 전국 유명서점에서 절찬리에 판매될 에정으로 있습니다. 교보문고 등의 대형매장의 경우에는 예스24와 같은 인터넷 서점처럼 매장 방문 없이 인터넷 주문도 쉽게 가능하며, 또한 전국 어느 서점에서 주문해도 대개 1~2일내로 신속하게 배달됩니다.
'나의 편린들 > 詩 자료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난붘(I am Book) 정상회담_19.04.06 (0) | 2019.04.02 |
---|---|
잘 쓴 시와 좋은 시의 사이 / 나호열 (0) | 2019.02.22 |
강봉덕 시인 첫 시집 『화분 사이의 식사』(실천문학사, 2018) 출간 (0) | 2018.11.23 |
문학동인 Volume 제2차 정기총회 및 동인지 창간호 출판기념회(20181103~4, 경주) (0) | 2018.11.07 |
지리산문학제_20181006_함양문화회관 (0) | 2018.10.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