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들은 이야기
- 언니네 책다방
- 노을 쪽에서 온 사람
- 경주문학상
- 최미경 시인
- 권상진 #저녁의 위로 #검은 사람 #발아래 어느 상가 #장수철 시인 #시와문화
- 도서출판득수
- 수북책방
- 권수진
- 접는다는 것
- 노을쪽에서온사람
- 권상진 시집
- 눈물이후
- 걷는사람
- 눈물 이후
- 북토크
- 권상진 시인
- 가짜시인
- 레미앙상블
- 권상진
- 시골시인K
- 웹진 시인광장
- 리스트컷증후군
- 햄릿증후군
- 유승영
- 서형국
- 밑장
- 권상진시인
- 이필
- 석민재
- Today
- Total
하루하루
'누가 위험한 말을 선비에게서 나오게 했나'..시인, 시 한 수에 목숨을 잃다 - 서울신문 본문
[문화 유랑기] '누가 위험한 말을 선비에게서 나오게 했나'..시인, 시 한 수에 목숨을 잃다
서울신문 입력 2015.07.21. 11:24 수정 2015.07.21. 11:26
-왕의 부자에게 희생된 조선 최고의 시인 사제
온 나라가 임진란으로 고통을 겪고 있을 때 송강 정철이 강화도 송정촌에서 끼니 잇기가 어려울 정도로 궁핍하게 살다가 은거 한 달 만에 생을 마감했다. 사인은 영양실조였다. 조선 문학의 최고봉이요, 정치 권력자의 최후 치고는 어이없는 죽음이었다.
이 무렵 송강을 가끔씩 찾아온 강화도 시인이 있었는데, 그가 바로 송강의 제자 권필(權韠)이었다. 권필(1569~1612)은 누구인가? 선조대의 시인으로 당대 최고의 문장가였다. 호는 석주(石洲). 당시 문단에서 동악(東岳) 이안눌과 함께 양대산맥의 최고 시인으로 평가받았다. 날카로운 현실인식과 호방한 기풍으로 당대에 이미 시의 대가를 넘어선 정종(正宗)이라는 평을 들었다.
![권필의 후손이 세운 ‘석주권선생유허비(石州權先生遺墟碑)’. 권필이 초당을 세웠던 곳인 강화군 송해면 하도리 초당 터에 세워져 있다.](http://t1.daumcdn.net/news/201507/17/seoul/20150717110202866syyt.jpg)
권필의 후손이 세운 ‘석주권선생유허비(石州權先生遺墟碑)’. 권필이 초당을 세웠던 곳인 강화군 송해면 하도리 초당 터에 세워져 있다.
대문장가로 알려진 명나라 사신 고천준(顧天俊)이 왔을 때, 권필은 야인이면서도 그를 접반하는 문사(文士)로 뽑혀 문명을 떨치기도 했다. 그러나 임진란 이후에는 세상에 뜻을 접고는 강화도 고려산으로 들어가 은거했다.
그런데 스승 송강 정철이 정적을 제거하는 선조의 칼잡이로 이용당하다가 비참한 최후를 맞은 데 이어, 그 제자 권필은 선조의 아들 광해군에게 매를 맞고 죽었으니, 이런 불운한 사제가 하늘 아래 다시 없을 것이다. 그것도 시 한 편 때문에 목숨을 잃었다니, 유사 이래 희귀한 일이 아닐 수 없다.
물론 광해군에게 직접 맞아서 죽은 것은 아니지만, 왕의 친국에서 혹독한 곤장을 맞은 후, 유뱃길에 올라 동대문 부근에서 하룻밤을 묵을 때, 따라온 친구들이 사준 술을 폭음하고는 그 밤으로 세상을 하직했으니, 광해군에게 맞아죽었다는 말도 그리 틀린 말은 아닌 셈이다.
![석주 권선생 유허비](http://t1.daumcdn.net/news/201507/17/seoul/20150717110203210pgqw.jpg)
권필에게 화를 불러온 시는 그가 지은 ‘궁류시(宮柳詩)’로서, 왕비의 오라버니 유희분의 전횡을 풍자한 내용이었다.
대궐 안 버들이 푸르르니 꽃잎 흩날리고
성 안 가득한 벼슬아치들은 봄빛에 아양 떠네
조정에선 태평성대라 서로들 치하하는데
누가 위험한 말을 선비에게서 나오게 했나
(宮柳青青花亂飛 滿冠蓋媚城春輝 朝家共賀昇平樂 誰遺危言出布衣)
세간에서는 다들 ‘궁궐의 버들’을 광해의 처남인 유희분이라고 생각했다. 즉, 성씨가 버들 유(柳)씨인 유희분을 빗대서 쓴 것이라고 보았던 것이다. 광해가 발끈한 것도 바로 이 때문이었다.
권필은 워낙 벼슬에는 뜻이 없어 술과 시로 살아가는 풍류인이었다. 허균과는 막역한 사이였으나, 권신 이이첨이 친교를 청하는 것은 끝끝내 거절한 강직한 성품이었다.
시류를 비판한 궁류시가 광해군에게 들어가자 왕은 불같이 노해 시인을 잡아들이게 했다. 그의 아버지 선조가 일찌기 권필의 시에 찬탄하여 늘 서안 위에 올려놓았다는 그 시인이었다.
권필의 문재를 아낀 좌의정 이항복이 왕을 만류하고 나섰다. 시 때문에 선비에게 형장을 치는 것은 성덕에 누를 끼치는 일이라며 한나절을 버티었다. 영의정 이덕형도 옆에서 힘써 거들었지만 광해군은 끝내 굽히지 않았다. 그의 불행한 종말을 예고한 불통과 협량이었다고나 할까.
마치 역적을 대하듯 한 왕의 친국에서 심한 고문을 당한 권필은 들것에 실려 해남으로의 유뱃길에 오른 첫날밤, 동대문 밖 어느 주막에서 따라온 친구들이 사준 술을 통음하고는 표표히 세상을 뜨고 만 것이다. 한 시대를 주름잡던 대문장가의 허무한 죽음이었다. 스스로 목숨을 던져버렸다고 볼 수밖에 없는 정황이었다. 그의 나이 겨우 마흔 셋이었다.
그의 죽음을 전해들은 광해군은 “하룻밤 사이에 어찌 죽을꼬?” 하고 중얼거렸다 한다. 분명 후회하는 빛이었다. 이항복의 낙담은 더욱 컸다. “우리가 정승으로 있으면서도 석주를 못 살렸으니, 선비 죽인 책망을 어찌 면할꼬” 하고 자탄했다.
권필이 강화에 은거하며 후학들을 가르친 서당터가 유허비와 함께 아직도 강화에 남아 있다. 그가 초당을 세웠던 곳인 강화군 송해면 하도리에는 권필의 후손이 세운 ‘석주권선생유허비(石州權先生遺墟碑)’가 세워져 있다. 고려산 기슭의 하도 저수지 옆이다. 시인이 원래 세상에 별 뜻이 없어 강화에 은둔해 있을 때, 그의 문명을 듣고 찾아온 유생들에게 글을 가르치던 초당 터이다. 송강이 만년을 보낸 송정촌과도 그리 멀지 않은 곳이다.
조선 시대 여러 차례의 사화로 아까운 선비, 인걸들이 수없이 죽어나갔지만, 시 때문에 목숨을 잃은 이는 권필뿐이었다. 그는 시의 순교자였다. 그의 묘는 경기도 고양시 일산 땅에 있다. 고양땅에 있는 정철의 첫 유택과도 그리 멀지 않은 곳이다.
권필은 죽음을 예감했는지 죽기 사흘 전 그는 평생 쓴 시를 보자기에 싸서 지인에게 건네고는 주고 마지막 시를 남겼다.
평생에 우스개 글귀 즐겨 지어
떠들썩 온갖 입에 오르내렸네
시 주머니 닫고 세상 마치리
공자님도 말 없고자 하셨거늘.
인연이란 원래 서로 얽히는 것인지, 그가 죽은 지 11년 뒤 인조반정으로 폐위된 광해군이 유배 간 곳이 바로 강화도였다. 그의 초당이 있는 곳의 지척에서 광해는 유배살이를 하다가 나중에 다시 제주도로 옮겨가 거기서 생을 마감했다. 지하의 시인은 자기가 살던 곳으로 쫓겨온 왕을 어떻게 생각했을까?
마지막으로, 권필이 남긴 시조 한 수로 글을 접도록 하자.
이 몸이 되올진대 무엇이 될꼬하니
곤륜산 상상봉에 낙락장송 되었다가
군산에 설만(雪滿)하거든 홀로 우뚝하리라.
이광식 통신원joand999@naver.com
'나의 편린들 > 詩 자료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의 시 쓰기에 대한 변명 - 복효근 시인 (0) | 2016.03.07 |
---|---|
2015 시흥문학상 심사평 중에서 (0) | 2015.10.28 |
문학상 받지 않은 사람이 진짜 수상자 / 맹문재 (0) | 2015.07.15 |
시에 대한 반론 / 나호열 (0) | 2015.07.07 |
파내듯 읽기와 베껴 쓰기의 힘 / 송준호 (0) | 2015.06.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