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눈물 이후
- 권상진 #저녁의 위로 #검은 사람 #발아래 어느 상가 #장수철 시인 #시와문화
- 언니네 책다방
- 햄릿증후군
- 석민재
- 웹진 시인광장
- 유승영
- 도서출판득수
- 리스트컷증후군
- 권수진
- 북토크
- 걷는사람
- 레미앙상블
- 밑장
- 이필
- 들은 이야기
- 권상진시인
- 권상진
- 권상진 시인
- 노을쪽에서온사람
- 서형국
- 눈물이후
- 가짜시인
- 시골시인K
- 노을 쪽에서 온 사람
- 경주문학상
- 최미경 시인
- 수북책방
- 접는다는 것
- 권상진 시집
- Today
- Total
하루하루
퇴고의 요령 / 李東潤 시인 본문
퇴고의 요령 / 李東潤 시인
1. 묵히기
음식도 어느 정도 숙성되어야 맛이 좋다. 시 역시 숙성기간이 필요하다.
작품을 바로 퇴고하면 좋은 효과를 거두기 어렵다.
수 일 내지는 수 십일 정도 지나서 다시 검토해 본다면 또 다른 점이 보일 것이고
이러한 과정의 거듭으로 퇴고를 하다보면 좋은 작품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2. 거듭 읽기
작품을 쓴 후에 자기 작품을 소리내어 낭송하여보는 것이 좋다
여러 번 읽다보면 자연스럽게 어색하거나 불합리한 점을 느끼게 될 것이다
3. 거꾸로 읽기
작품을 뒤에서 부터 거꾸로 읽어보자
거꾸로 읽어도 의미 전달과 문맥이 무난하면 좋은 작품이라 할 수 있다
4. 끊어 보기
한 연씩 끊어 보자 또는 각각 연의 첫행 또는 끝행만을 연결해 보자
전달하고자하는 의미와 전개에 일관성이 있다면 좋은 작품이라 할 수 있다
5. 모양 보기
가령 나무를 본다면 뿌리, 줄기, 가지, 꽃, 열매등의 부분적인 모양과
전체 모양이 잘 조화를 이루듯
시 한편 역시 전체적인 모양이 중요하다
전체적으로 의미 전달이 명료하고 조화와 일관성이 있다면 좋은시라 할 수 있다
6. 바꿔 보기
제삼자의 입장에서 읽어보자
주관적인 작품을 객관적으로 검토함이 필요하다
동료나 주위사람에게 작품을 읽어보게 하자
깊이를 떠나더라도 의미전달이나 감동을 준다면 좋은시라 할 수 있다
7. 잘라내기
굳이 강조가 아닌 불필요한 언어나 의미의 중복이 있다면
세심히 검토하여 과감히 잘라내자
정원수를 다듬듯 가지치기가 잘 된다면 좋은시라 할 수 있다
8. 보태기
언어나 의미의 연결에 있어 미흡한 부분을 검토하여 보완할 필요가 있다
길을 고칠 때 끊어진 곳은 잇고 파여진 곳을 메워야 하듯 적절히 보완을 한다면
좋은시라 할 수 있다
9. 세수하기
혹 지나치게 의식적이거나 아집 또는 장식에 치우치지 않았는지 검토하자
화장이 심하면 작품의 진정성을 놓치기 쉬우므로 작품을 청결하게 씻을 필요가 있다
10. 글머리
글의 제목 또한 시의 일부이며 생명이다
본문을 잘 이끄는 도입부이기도 하고 전체를 대표하기도하므로
주제와 잘 부합되는지 세심히 검토하여야 한다
제목을 먼저 정하는 방법도 있고 나중에 정하는 방법도 있지만
제목은 그 자체가 작품 절반 이상의 중요성을 갖고 있음을 잊지말아야 한다
11. 놓아주기
오로지 이론과 형식에 얽매이게되면 자칫 문맥과 표현이 경직될 우려가 있다
문학 뿐 아니라 모든 예술은 순수와 자유를 바탕으로하는 것이니
너무 고착된 관념이나 틀에 갇혀있지는 않은지 검토하여 족쇄를 풀어주어야 한다
특히 시가 타성에 갇혀서는 좋은 시라 할 수 없다
12. 뜯어보기
타인의 작품을 많이 읽어보고 평해보는 습관을 갖자
이러한 습관으로 자기 작품을 검토한다면
훨씬 완성도 높고 좋은 작품을 만들 수 있다
'나의 편린들 > 詩 자료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시를 쉽게 쓰는 요령 - 김영남 (0) | 2015.05.06 |
---|---|
시를 잘 쓰기 위한 10가지 방법 (0) | 2014.12.31 |
스물다섯 李箱, 최정희에게 보낸 러브레터 첫 발견 (0) | 2014.07.23 |
원로시인들 “읽어도 이해안되면, 詩 아니다” (0) | 2014.07.19 |
세월호 참사 100일 추모 시낭송 그리고 음악회 (0) | 2014.07.17 |